Tag: 봄날은간다

Q57. J47. 누주

Quote of the day

비록 반가움의 누주는 없을지라도 감응은 인간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봄날은 간다, 김영민, 22쪽

Words

한적 閑寂: 한가할 한, 고요할 적.
담이 淡爾: 맑을 담, 너 이.
경고성 警告聲: 깨우칠 경, 고할 고, 소리 성.
vorlaufende: run forward, pioneering, 선구적.
entschlossenheit: determination, 결의.
누주 淚珠: 눈물 누, 구슬 주.
성어중형어외 成於中形於外: 이룰 성, 어조사 어, 가운데 중, 모양 형, 바깥 외.
智: 슬기 지.


Journey and Journal

var 閑 = 한가할 한; 한가할 한 = (코로나, 재택근무) => {종이로 담을 쌓아 외부와 단절하여 내 시간에 몰입하는데 죄책감을 지우는 이.}
var 寂 = 고요할 적; 고요할 적 = (노란 콩) => {그녀가 비운 집은 조용하여 노란 콩이 떨어지는 소리까지 들렸다.}
var 淡 = 맑을 담; 맑을 담 = (불타는 물, 수증기, 참숯) => {참숯에 걸른 농도가 옅은 맑은 물 + 분홍 빛 히말라야 소금 + 레몬즙 + 수증기 피어오르는 물.}
var 爾 = 너 이; 너 이 = (실, 가락옷, 물레) => {물레 돌듯이 발 굴리며 스치는 옷 가락에 실 감듯이 바람을 감다.}
var 警 = 깨우칠 경; 깨우칠 경 = (개, 몽둥이, 말) => {프로파간다는 여러 단계를 거치고 여러 채널을 통해말로 전해진다. 그 말은 마치 개를 몽둥이로 길들여 공경하게 만들려 한다. 깨우치지 않고 야생의 늑대가 되련다.}
var 告 = 고할 고; 고할 고 = (소, 말) => {소는 낙타와 같은 위상이다. 꾿꾿히 일해 고작 제사를 위한 설렁탕에 삶아 삶을 바친다. 그리고 누구도 소를 위한 말 한마디 고하지 않는다.}
var 聲 = 소리 성; 소리 성 = (석경, 몽둥이, 귀) => {창밖에서 차바퀴가 울퉁불퉁한 석조도로를 굴러가는 소리는 마치 몽둥이로 석경을 치듯이 귀를 살살 긁는다.}
var 淚 = 눈물 누; 눈물 누 = (물, 외짝 문, 개) => {눈에서 흐르는 물은 흡사 외짝 문 밑으로 개가 스스로를 어그려(ugly)트리며 억지로 나오는 모습이다. 늑대는 문 밑으로 기어나오지 않는다.}
var 珠 = 구슬 주; 구슬 주 = (둥근 보석, 적심목) => {속이 붉은 나무의 빛깔과 둥근 모양의 귀한 돌처럼 내 몸 속에 흐르는 적혈구.}
var 成 = 이룰 성; 이룰 성 = (창, 못) => {매일 꾸준히 몸과 정신의 창을 갈고 닦아 과업의 못을 박다.}
var 於 = 어조사 어; 어조사 어 = (까마귀, 구두점) => {까마귀가 ‘아아’ 울며 하루에 구두점을 찍는다.}
var 中 = 가운데 중; 가운데 중 = (군 진영, 깃발) => {군 진영 한 가운데 꽂힌 깃발처럼 위상을 나부끼다.}
var 形 = 모양 형; 모양 형 = (방패, 털) => {포개진 평평한 방패처럼 내 몸에 무늬를 띄고 보호하는 털.}
var 外 = 바깥 외; 바깥 외 = (초승달, 점) => {눈이 째진 외국인은 매서운 눈초리로 초승달을 응시하며 구름 한 점, 거북이 배딱지 한 점 없는 하늘을 향한다.}
var 智 = 슬기 지; 슬기 지 = (화살, 구멍, 말) => {화살같은 말로 구멍을 뚫는다.}

Q53. J43. 박애도 조직도 아닌 길

Quote of the day

박애도 조직도 아닌 길, 관념론도 물질론도 아닌 길,
형이상학도 이데올로기도 아닌 길, 현실도 유토피아도 아닌길,
종교도 기술도 아닌 길, 친구도 애인도 아닌 길, 소실점처럼 이론과
생활이 아득하게 맞닿아 있는 길 없는 길을 찾아 오늘도 다시
걷는다.

봄남은 간다, 김영민, 15쪽

Words

育(기를 육): 女 + 月(子 -> 肉 -> 月). 막 출산을 끝낸 어미와 갓태어난 아이가 물을 튀며 욕조에 있는 모습.
博(넓을 박): 十(열 십) + 尃(펼 부, 퍼질 포). 꽉 찬 숫자만큼 실 타래를 푸는 모습.
  모든 것을 쏟아붓는다는 뜻에서 노름하다라는 뜻도 파생됨.
愛(사랑 애): 爫(손톱 조) + 冖(덮을 멱) + 心 + 夊(천천히 걸을 쇠). 금문에서는 旡(목멜 기) + 心.
 사람의 가슴부위의 심장을 그려 목숨을 걸 만큼 아끼는 마음을 뜻함.
四(넉 사): 갑골문의 亖가 三과 혼동되어 금문에서는 콧구멍을 그려 숨쉼을 뜻한 四가 숫자 4로 가차되었다.
  후에 숨쉬다는 뜻의 呬(쉴 희)가 따로 만들어 졌다.
圍(에워쌀 위, 나라 국): 韋(가죽 위) + 囗(에운담 위). 성 주위를 둘러싸고 경비하는 모습.
동편(東便): 동쪽 편
便(편할 편, 똥오줌 변): 亻(사람 인) + 更(고칠 경). 사람이 불편해 하는 것을 바로잡는다는 뜻.
켠: 비탈의 방언
군락(群落): 같은 지역에 모여 생활하는 많은 부락, 같은 생육조건에서 떼를지어 자라나는 식물 집단.
  수림, 초원, 황원, 수생 식물 군락따위로 크게 나뉜다.
群(무리 군): 君(임금 군) + 羊(양 양). 지팡이를 들고 명령을 내리며 양 떼를 모는 모습.
落(떨어질 락): 雨(비 우) + 艹(풀 초) + 各(각각 각). 나뭇잎이나 비가 ‘떨어지다(오다)’를 표현.


Journey and Journal

育育: 어미는 이미 출산한지 오래. 아이도 육육한지 오래. 엄마는 노란잠바 걸치고 혼자 걷는다.
博愛: 목메인 심장을 향해 힘이 가득찬 열손톱은 실타래를 풀며 천천히 걷는다.
四圍: 입이 너무 크면 콧구멍 주위를 멤돈다. 코로나와 마스크.
東便: 공구함을 열어 망치를 꺼내든 이는 낡은 탁자를 고칠 것.
群落: 지팡이를 들고 고함치면 양떼는 낙엽지고 빗방울 떨어지듯 무리를 짓는다.